맨위로가기

야히아 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히아 칸은 1917년 영국령 인도에서 태어나 파키스탄 육군 장교로 복무했으며, 1969년부터 1971년까지 파키스탄의 대통령이자 계엄령 최고 사령관을 역임했다. 그는 1969년 아유브 칸 대통령으로부터 권력을 승계받아 계엄령을 선포하고, 1970년 총선을 실시했지만 동파키스탄의 분리주의 움직임과 1971년 방글라데시 독립 전쟁으로 이어지는 혼란을 겪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작전명 서치라이트를 통해 벵골 민족주의 운동을 진압하려 했으며, 이는 방글라데시 학살로 이어졌다. 결국 1971년 인도-파키스탄 전쟁에서 파키스탄이 패배하고 방글라데시가 독립하면서 대통령직에서 물러났으며, 1980년 사망했다. 그는 파키스탄에서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지만, 미국에서는 중국과의 관계 개선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야히아 칸 - [인물]에 관한 문서

2. 어린 시절과 교육

야히아 칸은 콜로넬 브라운 캠브리지 스쿨(데라둔)에서 수학한 후, 펀자브 대학교 (라호르)에 진학하여 학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펀자브 대학교에서 학과 수석을 차지할 정도로 우수했다.[59][77][91]

2. 1. 출생 및 가족

아그하 무함마드 야히아 칸은 1917년 2월 4일 영국령 인도 펀자브주 차크왈에서 태어났다.[85][83][84] 그의 가족은 칼라니 파슈툰인 출신이다.[86][87][88][89][90] 그는 펀자브어페르시아어를 유창하게 구사했다.

야히아 칸의 가족은 파슈툰계 키질바시 출신으로, 이란 정복자 나디르 샤의 정예 병사들에서 내려왔다.[4][5][6][7][8] 야히아 칸은 페르시아어를 구사했다.[59][9][10]

인도의 작가 데완 베린드라나트의 저서 《야히아 칸의 사생활》(1974년 출판)에 따르면, 야히아의 아버지 사아다트 알리 칸은 펀자브주의 영국 인도 제국 경찰에서 근무했다. 그는 경장으로 입대해 부경감으로 은퇴했다. 야히아 칸이 태어났을 당시 그는 영국령 인도 펀자브주 차크왈에 배치되어 있었다. 그는 바가트 싱을 포함한 많은 독립운동가들의 시신을 처리한 공로로 칸 사히브 칭호를 받았다.

야히아의 아버지는 원래 페샤와르 출신이었다. 야히아는 명문 콜로넬 브라운 캠브리지 스쿨(데라둔)에서 공부한 후 펀자브 대학교(라호르)에 입학하여 학과 수석으로 B.A. 학위를 받았다.[59][77][91]

2. 2. 교육 과정

야히아 칸은 명문 콜로넬 브라운 캠브리지 스쿨(데라둔)에서 공부한 후 펀자브 대학교 (라호르)에 입학하여 학과 수석으로 B.A. 학위를 받았다.[59]

3. 군 경력

야히아 칸은 1939년 인도군사학교를 졸업하고 영국 인도군에 임관되었다.[59][1]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제4보병사단(인도) 소속으로 이라크, 이탈리아, 북아프리카 전선에서 복무했으며, 이탈리아에서 포로로 잡혔다가 탈출하기도 했다.[59]

1947년 인도의 분할 이후 파키스탄 육군에 합류한 야히아 칸은 퀘타의 지휘 참모 대학에서 교관으로 근무하며, 인도군 장교들이 도서관 서적을 반출하지 못하도록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59] 34세에 준장으로 진급하여 당시 파키스탄 최연소 준장이 되었으며,[59] 1951년부터 1952년까지 잠무 카슈미르 LOC 휴전 지역에 배치된 제105 독립 여단 사령관을 역임했다.[12]

이후 아이유브 칸의 육군 현대화 계획에 참여하여 육군 기획위원회 수장을 맡았고, 1958년부터 1962년까지 참모총장직을 수행했다. 1965년 인도-파키스탄 전쟁에서는 제7보병사단과 제12보병사단을 지휘했다.

1966년 파키스탄 육군 총사령관이 된 야히아 칸은 육군 재편성을 적극 추진했다. 1965년 전쟁 경험을 바탕으로, 총사령부(GHQ)와 전투 사단 사이에 중간 코퍼스 사령부를 두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당시 파키스탄 육군은 단 하나의 코퍼스 사령부(제1코퍼스)만 보유하고 있었으나,[14] 미국의 군사 원조 중단으로 인해[15] 중국으로부터 군사 원조를 받기 시작했다. 1966년부터 중국의 T-59 전차가 파키스탄 육군의 주력 전차가 되었고, 1968년 초까지 세 개의 보병 사단(9, 16, 17 사단)이 창설되었다. 또한 제2코퍼스, 제4코퍼스, 동부 사령부 등 새로운 코퍼스 사령부가 신설되었다.

3. 1. 영국 인도군 복무

야히아 칸은 1939년 7월 15일 데라둔의 인도군사학교를 졸업하고 영국 인도군에 임관되었으며, 나중에 임관일이 1938년 8월 28일로 소급 적용되었다.[59][1] 제4대대 (현재 발루치 연대의 전신, 야히아 시대에는 'Baluch'가 아닌 'Baluch'로 표기) 출신 보병 장교였던 야히아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북아프리카에서 전투를 치렀다. 1942년 6월 추축국에 포로로 붙잡혀 이탈리아의 포로 수용소에 수감되었다가 세 번째 탈출 시도 끝에 탈출했다.[1]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야히아 칸은 제4보병사단(인도)에서 중위, 나중에는 대위로 복무했다. 그는 이라크, 이탈리아, 북아프리카에서 복무했으며, 이탈리아에서 포로 생활을 한 후 인도로 돌아왔다.[59]

3. 2. 파키스탄 육군 복무

1947년 인도의 분할 이후, 야히아 칸은 파키스탄 육군에 입대하기로 결정했으며, 소령(대위 대리) 계급이었다. 같은 해, 지휘 참모 대학 도서관에서 인도군 장교들이 서적을 반출하지 못하도록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59] 당시 야히아는 인도 분할 시점에 퀘타에 있는 이 대학에서 교관으로 근무하고 있었으며, '육군 참모 대학'의 이름을 '지휘 참모 대학'으로 변경했다.[1]

34세에 준장으로 진급했는데, 당시 파키스탄에서 가장 젊은 준장이었다.[59] 1951년부터 1952년까지 잠무 카슈미르의 LOC 휴전 지역에 배치된 제105 독립 여단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12]

이후 야히아 칸은 부참모총장으로서 1954년부터 1957년까지 아이유브 칸이 파키스탄 육군 현대화를 위해 설립한 육군 기획위원회의 수장으로 선출되었다. 1958년부터 1962년까지 참모총장직을 수행했으며, 이후 1962년부터 1965년까지 2개의 보병 사단을 지휘했다. 1965년 대통령 선거에서 파티마 진나에 맞서 아이유브 칸 대통령의 선거 운동을 지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 GOC으로 임명되어 1965년 인도와의 전쟁에서 제7보병사단과 제12보병사단을 지휘했다.

3. 3. 육군 현대화 기여

인도의 분할 이후 1947년, 야히아 칸은 파키스탄 육군에 입대하기로 결정했으며, 이미 소령(대위 대리) 계급이었다. 같은 해, 퀘타에 있는 지휘 참모 대학(당시 육군 참모 대학) 도서관에서 인도군 장교들이 서적을 반출하지 못하도록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59] 그는 '육군 참모 대학'을 '지휘 참모 대학'으로 변경했다.[1] 34세에 준장으로 진급하여 당시 파키스탄에서 가장 젊은 준장이 되었다.[59] 1951년부터 1952년까지 잠무 카슈미르 LOC 휴전 지역에 배치된 제105 독립 여단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12]

이후 1954년부터 1957년까지 아이유브 칸의 육군 현대화 계획에 참여하여 부참모총장으로서 육군 기획위원회 수장을 맡았다. 1958년부터 1962년까지 참모총장직을 수행했으며, 1962년부터 1965년까지 2개의 보병 사단을 지휘했다. 1965년 대통령 선거에서 파티마 진나에 맞서 아이유브 칸 대통령의 선거 운동을 지지했다.[2] GOC으로서 1965년 인도와의 전쟁에서 제7보병사단과 제12보병사단을 지휘했다.

3. 4. 육군 총사령관 임명

1965년 전쟁 이후, 야히아 칸 소장은 파키스탄 육군 총사령부(GHQ)에서 육군 참모총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곧 중장으로 진급했고, 1966년 3월 파키스탄 육군 총사령관이 되었다.[13] 1966년 9월 18일, 아이유브 칸 대통령은 그를 대장으로 진급시켰고, 40세의 나이로 파키스탄 최연소 대장이 되었다.[59] 이 진급은 알타프 카디르 중장과 바크티아르 라나 중장 등 두 명의 선배를 제치고 이루어졌다.[59][14]

육군 총사령관이 된 후, 야히아 칸은 1966년 파키스탄 육군의 재편성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59] 1965년 전쟁의 경험은 파키스탄 육군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이전까지 육군 사단이 육군 총사령부(GHQ)의 직접 명령을 받아도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1965년 전쟁에서 이 방식은 실패로 드러났다. 이에 따라 총사령부(GHQ)와 전투 사단 사이에 중간 코퍼스 사령부를 두는 것이 중요해졌다.

1965년 전쟁 당시 파키스탄 육군은 단 하나의 코퍼스 사령부(제1코퍼스)만 보유하고 있었다.[14] 전쟁 직후 미국은 인도와 파키스탄 모두에 대한 군사 원조를 중단했는데, 이는 파키스탄 육군의 기술적 구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당시 미국의 딘 러스크 국무장관은 "싸울 거라면 싸워라, 하지만 우리가 그 비용을 지불하지는 않을 것이다"라고 말했다.[15]

이에 파키스탄은 중국으로 눈을 돌려 군사 원조를 받았고, 1966년부터 중국의 T-59 전차가 미국의 M47 패튼 전차를 대체하여 파키스탄 육군의 주력 전차가 되기 시작했다. 1965년-66년에 T-59 전차 80대가 처음으로 파키스탄에 인도되었고, 1966년 3월 23일 합동군의 날 행사에서 공개되었다.

1965년 전쟁은 파키스탄 육군의 전차-보병 비율이 불균형적이며 더 많은 보병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에 따라 1968년 초까지 주로 중국 장비로 무장한 세 개의 보병 사단(9, 16, 17 사단)이 창설되었다. 또한 제2코퍼스(젤룸-라비 회랑)와 제4코퍼스(라비-수틀레이 회랑)의 두 개의 코퍼스 사령부가 신설되었고, 동파키스탄에는 동부 사령부라는 코퍼스 규모의 부대가 창설되었다.

4. 대통령 재임 (1969–1971)

1968년 가을 서파키스탄에서 시작된 반정부 운동은 1969년 동파키스탄 봉기로 이어져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아유브 칸 대통령은 타슈켄트 협정 체결과 즐피카르 알리 부토 외무장관 해임 이후 더욱 악화된 정치적 긴장감 속에, 파키스탄 인민당(PPP)과 아와미 연맹(AL) 등 야당에 양보하며 사태를 수습하려 했으나 실패했다.[16][17]

아유브 칸은 사임하고 헌법에 따른 권력 이양 대신, 육군 참모총장인 야히아 칸에게 군의 헌법 초월 권한을 이용하여 계엄령을 선포하고 권력을 장악할 것을 요청했다.[18] 1969년 3월 24일, 아유브는 야히아에게 편지를 보내 위기를 해결하도록 요청했는데, 그 이유는 "[민간] 정부가 ... 복잡한 상황을 처리할 능력이 없기 때문"이었다.[19] 야히아는 3월 25일 아유브의 제안을 수락했고,[20][21] 3월 26일 파키스탄 텔레비전을 통해 전국에 계엄령을 선포했다. 1962년 헌법은 폐지되었고, 파키스탄 의회는 해산되었으며, 아유브의 민간 관리들은 해임되었다.[19] 야히아는 그의 첫 전국 연설에서 "나는 무질서를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모두 제자리에 있어라"라고 주장했다.[59][22]

야히아 칸은 취임 당시 서파키스탄동파키스탄 사이의 20년간의 주간 민족적 경쟁이라는 헌법적 문제와 더불어, 1968-69년 반 아유브 운동의 이념적 기반이었던, 한 사람의 통치를 민주 국가로 변모시켜야 하는 과제를 물려받았다. 취임 후 야히아 칸은 국가를 이끌고, 임시 헌법을 초안 작성하고, 원 유닛 문제를 해결하고, 1948년 이후 정부 정책으로 인해 "동부 지역"(동파키스탄)에서 자극받는 좌절감과 착취감을 해소해야 했다.[59][12]

야히아 칸은 1969년 3월 아유브 칸으로부터 권력을 넘겨받은 후 파키스탄의 헌법적 문제와 주간 경쟁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했다. 초기 계획은 굴람 오마르 소장을 최초 고문으로 하는 파키스탄 국가안보회의(NSC)를 설립하여 정치 및 국가 안보 문제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준비하는 것이었다.[26][30]

당시 파키스탄 기획위원회 부위원장이었던 M.M. 아마드는 헨리 키신저에게 국가가 사회 개혁 및 두 지역 간 자원 배분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제 성장률의 일부를 희생해야 하며, 미국의 군사 원조 상실로 인해 군사 장비 조달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개발 예산 삭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27] 1971년 야히아는 국가 경제를 개선하지 못했다는 점을 인정하며, “나는 좋지 않은 경제를 물려받았고, 나도 그대로 넘길 것이다”라고 말했다. 외환 보유액이 1.6억달러로 떨어진 후 군정은 국제통화기금과 협상을 시작했다.[28]

1969년 야히아 대통령은 1970년 법적 틀 명령을 공포하여 서파키스탄원 유닛 계획을 폐지하고 서파키스탄의 주들을 1955년 이전의 구성으로 되돌렸다.[29] 이 법령은 동파키스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29][12] 원 유닛 정책의 해체는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지지 않았다.[12] 야히아는 또한 의회에서 더 많은 지분이 그들의 상처 입은 민족적, 지역적 자존심을 회복하고 파키스탄의 통합을 보장할 것이라는 희망으로 동등성 원칙을 폐지함으로써 동파키스탄인들을 수용하려는 시도를 했다. 그러나 벵골인들을 만족시키는 대신, 그들의 분리주의에 대한 목소리를 더욱 강화하여 동부 지역에서 반 서부 지역 감정을 더욱 고조시켰다.

4. 1. 권력 승계와 계엄령 선포

1968년 가을 서파키스탄에서 시작된 반정부 운동은 1969년 동파키스탄 봉기로 이어져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아유브 칸 대통령은 타슈켄트 협정 체결과 즐피카르 알리 부토 외무장관 해임 이후 더욱 악화된 정치적 긴장감 속에, 파키스탄 인민당(PPP)과 아와미 연맹(AL) 등 야당에 양보하며 사태를 수습하려 했으나 실패했다.[17]

결국 아유브 칸은 사임을 결정하고, 헌법에 따른 권력 이양 대신 육군 참모총장 야히아 칸에게 군의 헌법 초월 권한을 이용하여 계엄령을 선포하고 권력을 장악할 것을 요청했다.[18] 1969년 3월 24일, 아유브는 야히아에게 편지를 보내 "민간 정부는 복잡한 상황을 처리할 능력이 없다"며 위기 해결을 요청했다.[19] 야히아는 3월 25일 아유브의 제안을 수락했고,[20][21] 3월 26일 파키스탄 텔레비전을 통해 전국에 계엄령을 선포했다. 이로써 1962년 헌법은 폐지되고, 파키스탄 의회는 해산되었으며, 아유브의 민간 관리들은 해임되었다.[19] 야히아는 첫 전국 연설에서 "나는 무질서를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모두 제자리에 있어라"라고 경고했다.[59][22]

야히아 칸의 군정에는 여러 현역 군 장교들이 참여했다.

야히아 칸 정부
장관부처파키스탄 군
야히아 칸 장군[23]대통령 및 계엄령 최고 사령관
정보방송부
법무부 및 사법부
외무부 및 국방부
압둘 하미드 칸 장군(압둘 하미드 칸)[23]계엄령 최고 사령관 부관
내무부 및 카슈미르 담당 부처
시드 모하메드 아산 소장[23]계엄령 최고 사령관 부관
재무부 및 기획위원회
통계부, 상무부, 및 산업부
누르 칸 공군 원수[23]계엄령 최고 사령관 부관
통신부 및 보건부
노동부 및 과학기술부


4. 2. 군정 구성

1969년 동파키스탄 봉기 이후, 아유브 칸 대통령은 사임하고 계엄령을 선포하여 권력을 장악한 육군 참모총장 야히아 칸에게 위기 해결을 요청했다.[19] 1969년 3월 26일, 야히아 장군은 파키스탄 텔레비전을 통해 전국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1962년 헌법을 폐지했으며, 파키스탄 의회를 해산하고 아유브의 민간 관리들을 해임했다.[19] 야히아는 첫 전국 연설에서 "나는 무질서를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모두 제자리에 있어라"라고 말했다.[59][22]

야히아 칸의 새로운 군정에는 여러 현역 군 장교들이 포함되었다. 주요 인사는 다음과 같다.

야히아 칸 정부
장관부처파키스탄 군
야히아 칸 장군[23]대통령 및 계엄령 최고 사령관, 정보방송부, 법무부 및 사법부, 외무부 및 국방부
압둘 하미드 칸 장군(압둘 하미드 칸)[23]계엄령 최고 사령관 부관, 내무부 및 카슈미르 담당 부처
시드 모하메드 아산 소장[23]계엄령 최고 사령관 부관, 재무부 및 기획위원회, 통계부, 상무부, 및 산업부
파키스탄 해군
누르 칸 공군 원수[23]계엄령 최고 사령관 부관, 통신부 및 보건부, 노동부 및 과학기술부


4. 3. 헌법적 문제 해결 노력

야히아 칸은 1969년 3월 아유브 칸으로부터 권력을 넘겨받은 후 파키스탄의 헌법적 문제와 주간 경쟁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했다. 그는 굴람 오마르 소장을 최초 고문으로 하는 파키스탄 국가안보회의(NSC)를 설립하여 정치 및 국가 안보 문제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준비했다.[26][30]

1969년, 야히아 대통령은 1970년 법적 틀 명령을 공포하여 서파키스탄을 구성했던 원 유닛 계획을 폐지하고 서파키스탄의 주들을 1955년 이전의 구성으로 되돌렸다.[29] 그러나 이 법령은 동파키스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29][12] 원 유닛 정책의 해체는 이전에 철회되었더라면 가져올 수 있었을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지지 않았다.[12]

야히아는 또한 의회에서 더 많은 지분이 그들의 상처 입은 민족적, 지역적 자존심을 회복하고 파키스탄의 통합을 보장할 것이라는 희망으로 동등성 원칙을 폐지함으로써 동파키스탄인들을 수용하려는 시도를 했다. 그러나 벵골인들을 만족시키는 대신, 그들의 분리주의에 대한 목소리를 더욱 강화하여 동부 지역에서 반 서부 지역 감정을 더욱 고조시켰다.

4. 4. 1970년 총선과 정치적 혼란

1970년 총선은 1970년 12월 7일에 전국적으로 실시되었다. 동파키스탄에서는 셰이크 무지부르 라흐만이 이끄는 아와미 연맹이 거의 모든 의석을 차지했지만, 서파키스탄에서는 의석을 얻지 못했다. 반면, 파키스탄 인민당(PPP)은 서파키스탄에서 절대 다수 의석을 획득했지만, 동파키스탄에서는 의석을 얻지 못했다. 누를 아민이 이끄는 파키스탄 무슬림 연맹(PML)은 전국적인 대표성을 가진 유일한 정당이었지만, 정부 구성에는 실패했다.

총선 결과는 파키스탄 유권자들이 지역적으로, 특히 동파키스탄과 서파키스탄 사이에서 극심하게 양극화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30][57]

1970년 총선 결과
정당의석 수
아와미 연맹160 (모두 동파키스탄)
파키스탄 인민당81 (서파키스탄)
파키스탄 무슬림 연맹10



이러한 결과로 인해 파키스탄은 정치적으로 분열되었다. 파키스탄 인민당아와미 연맹의 무지부르 라흐만은 여러 차례 양자 협상을 가졌지만, 6개항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한 권력 이양에 대한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 서파키스탄 정치인들은 6개항 프로그램이 동파키스탄의 완전한 분리로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30]

4. 5. 방글라데시 독립 전쟁

1968년 가을 서파키스탄에서 시작된 반정부 운동은 1969년 동파키스탄으로 확산되었다. 아유브 칸 대통령은 타슈켄트 협정 체결과 즐피카르 알리 부토 외무장관 해임 이후 더욱 악화된 정치적 긴장감 속에서 사임했다.[16] 그는 야당에 양보하며 반란을 진압하려 했으나 실패했다.[17]

아유브 칸은 야히아 칸 육군 참모총장에게 계엄령을 선포하고 권력을 장악할 것을 요청했다.[18] 1969년 3월 26일, 야히아 칸은 파키스탄 텔레비전을 통해 전국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1962년 헌법을 폐지했으며, 파키스탄 의회를 해산하고 아유브 칸의 민간 관리들을 해임했다.[19] 그는 첫 전국 연설에서 "나는 무질서를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모두 제자리에 있어라"라고 말했다.[59][22]

야히아 칸의 군정은 현역 군 장교들로 구성되었다.

야히아 칸 정부
장관부처파키스탄 군
야히아 칸 장군[23]대통령 및 계엄령 최고 사령관, 정보방송부, 법무부, 사법부, 외무부, 국방부
압둘 하미드 칸 장군[23]계엄령 최고 사령관 부관, 내무부, 카슈미르 담당 부처
시드 모하메드 아산 소장[23]계엄령 최고 사령관 부관, 재무부, 기획위원회, 통계부, 상무부, 산업부 파키스탄 해군
누르 칸 공군 원수[23]계엄령 최고 사령관 부관, 통신부, 보건부, 노동부, 과학기술부



야히아 칸은 서파키스탄동파키스탄 사이의 민족적 경쟁, 국가 통치 방식, 원 유닛 계획 문제, 동파키스탄의 좌절감 등 헌법적 문제를 물려받았다.[24][59][12] 미국의 정치학자 로렌스 지링은 야히아 칸이 비극적인 사건에 책임이 있지만, 혼자 행동한 것은 아니라고 지적했다.[25]

야히아 칸은 파키스탄 국가안보회의를 설립하고,[26][30] 국가 경제 개선을 위해 노력했다.[27] 1971년 그는 "좋지 않은 경제를 물려받았고, 나도 그대로 넘길 것이다"라고 인정했다.[28] 1969년, 1970년 법적 틀 명령을 공포하여 원 유닛 계획을 폐지하고 서파키스탄의 주들을 1955년 이전 구성으로 되돌렸다.[29] 그러나 이는 동파키스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벵골인들의 분리주의를 더욱 강화시켰다.[29][12]

1970년 총선 이후, 아와미 연맹, PPP, 군정 사이의 정치적 교착 상태가 계속되자, 야히아 칸은 동파키스탄의 반발에 대한 군사적 대응을 고려했다. 1971년 3월 25일, 벵골 민족주의 운동을 진압하기 위한 작전명 서치라이트를 개시했다.[59][1][30][31][32][33][34][35] 이 작전으로 파키스탄군과 파키스탄 경찰 내 벵골 출신 군인과 경찰들이 반란을 일으켜 무크티 바히니를 결성했고, 방글라데시 망명 정부가 수립되었다. 파키스탄군은 동파키스탄 주민들을 학살하고 강간하는 등 폭력을 자행했다.

정확한 사망자 수는 알 수 없으나, 방글라데시 당국은 300만 명, 하무두르 라흐만 위원회는 2만 6천 명, 사르밀라 보스는 5만 명에서 10만 명, 영국 의학 저널은 최대 26만 9천 명이 사망했다고 추산한다.[40][41][42][37][43]

야히아 칸은 셰이크 무지부르 라흐만반역죄로 체포했지만, 사형 판결을 보류했다. 이후 방글라데시 독립 전쟁이 발발했고, 인도가 개입하여 1971년 인도-파키스탄 전쟁으로 확대되었다. 전쟁 결과, 방글라데시가 독립하고, 인도가 서파키스탄 영토 일부를 점령했다가 심라 협정에 따라 반환했다. 파키스탄은 이슬람 협력 기구의 압력을 받아 방글라데시의 독립을 인정했다.

4. 5. 1. 작전명 서치라이트

1970년 총선 이후, 아와미 연맹, PPP, 군정 사이의 정치적 교착 상태가 지속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야히아 칸은 동파키스탄의 반발에 대한 군사적 대응을 고려하기 시작했다. 1971년 3월, 야히아 칸과 즐피카르 알리 부토는 다카에서 협상을 시도했지만,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30]

1971년 3월 25일,[59][1] 야히아 칸은 벵골 민족주의 운동을 진압하기 위한 작전명 서치라이트를 개시했다.[30][31][32][33][34][35] 이 작전은 1970년 11월에 시작된 블리츠 작전의 후속 조치로, 파키스탄 정부는 동파키스탄의 반란을 진압하여 국가 통합을 유지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작전명 서치라이트의 결과, 파키스탄군과 파키스탄 경찰 내 벵골 출신 군인과 경찰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이들은 일반 시민들과 함께 무크티 바히니를 결성하여 비정규전과 게릴라전을 수행했다.[36][37] 동요는 본격적인 내전으로 확대되었고, 인도 국경 너머에는 셰이크 무지부르 라흐만을 수반으로 하는 방글라데시 망명 정부가 수립되었다.[30]

파키스탄군은 동파키스탄 주민들을 체계적이고 의도적으로 살해하고 강간하는 등 폭력적인 혼란을 야기했다. 당초 작전 계획은 1971년 3월 26일에 주요 도시를 장악하고 한 달 안에 모든 정치적, 군사적 반대 세력을 제거하는 것이었다.[38] 그러나 파키스탄은 벵골인들의 장기적인 저항을 예상하지 못했다.[39] 작전명 서치라이트의 주요 단계는 5월 중순에 벵골인들이 점령했던 마지막 주요 도시가 함락되면서 종료되었다.

동파키스탄에서 발생한 사망자 수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40] 방글라데시 당국은 300만 명이 사망했다고 주장하는 반면,[41] 하무두르 라흐만 위원회는 민간인 사상자 수를 2만 6천 명으로 추산했다.[42] 사르밀라 보스는 5만 명에서 10만 명의 전투원과 민간인이 사망했다고 주장했다.[37] 영국 의학 저널의 2008년 연구는 최대 26만 9천 명의 민간인이 사망했다고 추산했다.[43]

야히아 칸은 셰이크 무지부르 라흐만반역죄로 체포하고, 라힘우딘 칸 준장을 임명하여 특별 재판을 주재하게 했다. 라힘우딘은 무지브에게 사형을 선고했지만,[44] 야히아 칸은 판결을 보류했다. 야히아 칸의 탄압은 방글라데시 독립 전쟁으로 이어졌고, 인도는 방글라데시 편에서 전쟁에 개입하여 1971년 인도-파키스탄 전쟁으로 확대되었다.[57][30][36]

전쟁 결과, 동파키스탄은 방글라데시로 독립했고, 인도는 서파키스탄 영토 약 15000km2를 점령했다. 점령된 영토는 1972년 심라 협정에 따라 파키스탄에 반환되었다.[45] 파키스탄은 이슬람 협력 기구의 압력을 받아 방글라데시의 독립을 인정했다.

4. 5. 2. 방글라데시 학살

1970년 총선 이후 아와미 연맹, PPP, 그리고 군정 사이의 정치적 교착 상태가 계속되는 동안 야히아 칸은 동파키스탄의 지속적인 반발에 대해 군사 전략가들과 협의를 시작했다.[30] 1971년 3월 25일,[59][1] 야히아 칸은 벵골 반대파와 벵골 민족주의 운동을 진압하기 위한 파키스탄군의 단속 작전인 작전명 서치라이트(Operation Searchlight)을 개시했다.[30][31][32][33][34][35] 이는 1970년 11월에 시작된 블리츠 작전(Operation Blitz)의 후속 작전으로 여겨졌다. 파키스탄 정부는 동파키스탄의 반란을 무력화하여 파키스탄의 통합을 지켜야 한다고 보았다.

작전명 서치라이트의 결과, 파키스탄군과 경찰의 벵골 출신 구성원들이 반란을 일으켜 일반 시민들과 함께 무크티 바히니(Mukti Bahini)을 결성하고 비정규전과 게릴라전을 수행하기 시작했다.[36][37] 인도 국경 너머에 망명 정부가 수립되어 무지부르 라흐만을 수반으로 하는 독립 국가 방글라데시를 선포했는데, 당시 그는 서파키스탄 감옥에 수감되어 있었다.[30]

파키스탄군의 동파키스탄 주민에 대한 체계적이고 의도적인 살해와 강간 작전과 함께 폭력적인 무질서와 혼란이 발생했다. 작전명 서치라이트의 원래 계획은 1971년 3월 26일에 주요 도시를 장악한 다음 한 달 안에 모든 정치적 또는 군사적 반대 세력을 제거하는 것이었다.[38] 그러나 파키스탄 계획자들은 장기간에 걸친 벵골인들의 저항을 예상하지 못했다.[39] 작전명 서치라이트의 주요 단계는 5월 중순 벵골인들의 손에 있던 마지막 주요 도시가 함락되면서 끝났다.

동파키스탄에서 사망한 사람들의 총 수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40] 방글라데시 당국은 300만 명이 사망했다고 주장하는 반면,[41] 파키스탄 정부의 공식 조사 기관인 하무두르 라흐만 위원회(Hamoodur Rahman Commission)는 민간인 사상자 수를 2만 6천 명으로 낮게 추산했다.[42] 사르밀라 보스(Sarmila Bose)는 ''1971년 방글라데시 전쟁의 기억: 데드 레커닝(Dead Reckoning: Memories of the 1971 Bangladesh War)''에서 전쟁 중 양측에서 5만 명에서 10만 명의 전투원과 민간인이 사망했다고 주장했다.[37] 영국 의학 저널(British Medical Journal)''의 2008년 연구는 최대 26만 9천 명의 민간인이 이 갈등으로 사망했다고 추산했다.[43]

야히아 칸 장군은 셰이크 무지부르 라흐만반역죄로 체포하고 무지브의 사건을 다루는 특별 재판을 주재할 라힘우딘 칸(Rahimuddin Khan) 준장(이후 장군)을 임명했다. 라힘우딘은 무지브에게 사형선고를 내렸지만,[44] 야히아 대통령은 그 판결을 보류했다. 야히아의 단속은 방글라데시 독립 전쟁으로 이어졌고, 인도는 결국 방글라데시인들을 위해 싸우며 전쟁에 개입하여 1971년 인도-파키스탄 전쟁으로 확대되었다.[57][30][36]

전쟁의 결과 동파키스탄이 방글라데시로 독립하고 인도가 이전 서파키스탄에 속했던 약 15,000km²의 영토를 점령했다. 그러나 점령된 영토는 1972년 7월 2일에 인디라 간디와 즐피카르 알리 부토가 체결한 심라 협정(Simla Agreement)에 따라 파키스탄에 반환되었다.[45]

1971년 전쟁은 파키스탄과 인도 간의 긴장을 고조시켰지만, 파키스탄은 이슬람 협력 기구(Organisation of Islamic Cooperation)의 강력한 압력을 받은 후 방글라데시의 독립을 인정했다.

4. 5. 3. 인도의 개입

1970년 총선 이후 아와미 연맹, 파키스탄 인민당(PPP), 그리고 군정 사이의 정치적 교착 상태가 계속되는 동안 야히아 칸은 동파키스탄의 지속적인 반발에 대해 군사 전략가들과 협의를 시작했다. 야히아 칸과 부토는 모두 다카로 날아가 1971년 3월 중순에 다시 한번 협상을 시도했지만, 아무런 결과도 얻지 못했다.[30]

1971년 3월 25일,[59][1] 야히아 칸은 벵골 반대파와 벵골 민족주의 운동을 진압하기 위한 파키스탄군의 단속 작전인 작전명 서치라이트(Operation Searchlight)을 개시했다.[30][31][32][33][34][35] 이는 1970년 11월에 시작된 블리츠 작전(Operation Blitz)의 후속 작전으로 여겨졌다. 파키스탄 정부는 동파키스탄의 반란을 무력화하여 파키스탄의 통합을 지켜야 한다고 보았다.

작전명 서치라이트의 결과, 파키스탄군과 경찰의 벵골 출신 구성원들이 반란을 일으켜 일반 시민들과 함께 무크티 바히니(Mukti Bahini)을 결성하고 비정규전과 게릴라전을 수행하면서, 동요는 본격적인 내전으로 번졌다.[36][37] 인도 국경 너머에 망명 정부가 수립되어 무지부르 라흐만을 수반으로 하는 독립 국가 방글라데시를 선포했는데, 당시 그는 서파키스탄 감옥에 수감되어 있었다.[30]

파키스탄군의 동파키스탄 주민에 대한 체계적이고 의도적인 살해와 강간 작전과 함께 폭력적인 무질서와 혼란이 발생했다. 작전명 서치라이트의 원래 계획은 1971년 3월 26일에 주요 도시를 장악한 다음 한 달 안에 모든 정치적 또는 군사적 반대 세력을 제거하는 것이었다.[38] 그러나 파키스탄 계획자들은 장기간에 걸친 벵골인들의 저항을 예상하지 못했다.[39] 작전명 서치라이트의 주요 단계는 5월 중순 벵골인들의 손에 있던 마지막 주요 도시가 함락되면서 끝났다.

동파키스탄에서 사망한 사람들의 총 수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40] 방글라데시 당국은 300만 명이 사망했다고 주장하는 반면,[41] 파키스탄 정부의 공식 조사 기관인 하무두르 라흐만 위원회(Hamoodur Rahman Commission)는 민간인 사상자 수를 2만 6천 명으로 낮게 추산했다.[42] 사르밀라 보스(Sarmila Bose)는 저서 ''1971년 방글라데시 전쟁의 기억: 데드 레커닝(Dead Reckoning: Memories of the 1971 Bangladesh War)''에서 전쟁 중 양측에서 5만 명에서 10만 명의 전투원과 민간인이 사망했다고 주장했지만, 널리 신뢰를 잃었다.[37] 지아드 오버마이어 등이 2008년에 발표한 ''영국 의학 저널(British Medical Journal)'' 연구는 최대 26만 9천 명의 민간인이 이 갈등으로 사망했다고 추산했다.[43]

야히아 칸 장군은 셰이크 무지부르 라흐만반역죄로 체포하고 무지브의 사건을 다루는 특별 재판을 주재할 라힘우딘 칸 준장(이후 장군)을 임명했다. 라힘우딘은 무지브에게 사형선고를 내렸지만,[44] 야히아 대통령은 그 판결을 보류했다. 그러나 야히아의 단속은 파키스탄 내에서 방글라데시 독립 전쟁으로 이어졌고, 인도는 결국 파키스탄에 맞서 방글라데시인들을 위해 싸우며 전쟁에 개입하게 되었고, 이는 1971년 인도-파키스탄 전쟁으로 확대되었다.[57][30][36]

전쟁의 결과, 동파키스탄은 방글라데시로 독립하고 인도는 이전 서파키스탄에 속했던 약 15000km2의 영토를 점령했다. 그러나 점령된 영토는 1972년 7월 2일에 인디라 간디와 즐피카르 알리 부토가 체결한 심라 협정(Simla Agreement)에 따라 파키스탄에 반환되었다.[45]

1971년 전쟁은 파키스탄과 인도 간의 긴장을 고조시켰지만, 파키스탄은 이슬람 협력 기구(Organisation of Islamic Cooperation)의 강력한 압력을 받은 후 방글라데시의 독립을 인정했다.

4. 5. 4. 미국의 역할

1970년 10월 야히아 칸 대통령과 미국 리처드 닉슨 대통령


미국은 야히아 칸 군사 정부의 주요 후원국이었다. 미국의 언론인 게리 배스는 그의 저서 ''피의 전보: 닉슨, 키신저, 그리고 잊혀진 대량학살''에서 "닉슨은 좋아하는 사람이 거의 없었지만 아가 무함마드 야히아 칸 장군은 좋아했다"고 언급한다.[46] 야히아 칸의 개인적인 노력은 미국과 중국 간의 소통 채널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이는 1972년 닉슨의 방문을 준비하는 데 사용되었다.[47]

1960년 이후 파키스탄은 미국에서 세계적인 공산주의에 대한 중요한 보루로 여겨졌다. 미국은 1971년 갈등 중 파키스탄을 신중하게 지원했지만, 의회는 무기 금수 조치를 유지했다.[48] 경제적으로 사회주의적인 인도는 1971년 8월 소련과 공식 동맹을 체결했다.

닉슨은 야히아 칸에게 여러 차례 자제를 촉구했다.[49] 그의 목표는 전쟁을 막고 파키스탄의 이익을 보호하는 것이었지만, 인도의 파키스탄 침공으로 인해 아대륙에 대한 인도의 지배가 강화되고 소련의 입지가 강화될까 우려했다.[50] 마찬가지로 야히아 칸은 독립적인 방글라데시가 파키스탄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고, 1971년 8월 공개적으로 인도의 벵골 게릴라에 대한 군사 지원이 인도와 파키스탄 간의 전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51]

1971년 11월 인도의 인디라 간디 총리는 워싱턴에서 닉슨을 만났다. 그녀는 닉슨에게 파키스탄과의 전쟁을 원하지 않는다고 확신시켰지만, 그는 그녀의 말을 믿지 않았다.[52] 키신저가 제시한 증언에 따르면, 닉슨은 간디 총리에게 위기에 대한 해결책에 대한 구체적인 제안을 했는데, 그중 일부는 그녀가 처음 듣는 것이었고, 인도-동파키스탄 국경에서의 상호 철군도 포함되었다. 닉슨은 또한 동파키스탄에서 정치적 타협을 위한 시한을 야히아와 정하기를 원했다고 밝혔다. 닉슨은 인도가 단시간 내에 위기를 완화하기 위한 미국의 노력을 기대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키신저와 간디의 보좌관 자이야카르 모두 간디가 이러한 제안에 응답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키신저는 그녀가 "사실상 닉슨의 더 나은 발표 중 하나를 무관심하게 들었지만" "어떤 점도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언급했다. 자이야카르는 간디가 "단 한 마디의 논평 없이 닉슨의 말을 들었고, 진정한 접촉이 불가능하도록 견고한 공간을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그녀는 또한 인도가 파키스탄이 인도 국경에서 철수하면 인도도 그에 따를 것이라고 닉슨에게 확신시키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주요 의제는 "완전히 폐기되었다".[53]

1971년 12월 3일 야히아는 인도 공군을 선제 공격했고, 간디는 반격하여 동파키스탄으로 진격했다. 닉슨은 성명을 발표하여 파키스탄을 갈등을 시작한 원인으로, 인도를 갈등을 악화시킨 원인으로 비난했다.[54] 그는 휴전을 선호했다.[55] 미국은 이란, 터키 및 요르단으로부터 파키스탄으로의 군사 장비 수송을 비밀리에 장려했고, 나중에 그 국가들의 무기 비축량을 보충해주겠다고 제안했다.[56] 의회의 반대에도 불구하고.[57] 미국은 원조 중단 위협을 이용하여 파키스탄을 물러나게 했고, 이슬라마바드에 대한 지속적인 군사 원조는 인도가 파키스탄 심장부로 더 깊이 침투하는 것을 막았다. 동파키스탄에 주둔한 파키스탄군은 1971년 12월 16일 다카에서 항복했고, 독립 국가 방글라데시의 탄생으로 이어졌다.[59][30][58]

4. 6. 권력 상실

방글라데시 독립 전쟁에서 파키스탄이 항복하고 파키스탄이 분열되었다는 소식이 서파키스탄 언론을 통해 보도되자, 대중의 분노가 폭발하여 파키스탄 전역에서 거리 시위가 벌어졌다. 야히아 칸 대통령에 대한 하급 장교들의 쿠데타가 임박했다는 소문이 전국을 휩쓸었다.[59] 1971년 12월 20일, 야히아 칸은 더 이상의 불안을 막기 위해 당시 강력하고 인기 있던 파키스탄 인민당줄피카르 알리 부토에게 대통령직과 정부를 넘겨주었다. 이로써 야히아 칸은 전쟁으로 인해 축출되었다.[59]

부토 대통령은 야히아 칸이 물러난 지 몇 시간 만에 법무장관 부서의 셰이크 무지부르 라흐만에 대한 판결을 뒤집고 그를 석방하여 런던으로 가도록 허용했다. 또한 부토는 무지브를 투옥했던 야히아 칸에 대한 가택 연금 명령을 내렸으며, 이 두 행위는 모두 전 세계 뉴스 헤드라인을 장식했다.[59]

5. 사생활

야히아 칸은 아클렘 아크타르와 관계를 맺었지만, 결혼은 하지 않았다.[92]

5. 1. 종교

야히아 칸은 명목상 시아파 무슬림이었지만,[60] 실제로는 종교 생활을 하지 않았고, 이슬람에서 금지하는 여색을 밝힘이나 알코올 음료 섭취와 같은 행위에 빠져 있었다고 알려져 있다.[61] 인도의 언론인 데완 베린드라나스는 야히아 칸이 권력을 잡으면서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방편으로 알코올과 여색에 빠져들었으며, 군인 시절에는 다른 장교들과 달리 사교 활동을 삼가고 가족과 시간을 보내는 것을 선호했고, 라마단 금식과 같은 이슬람 의례를 실천하는 등 도덕적으로 올바른 사람이었다고 주장했다.[62]

1969년부터 1971년까지 그의 통치 기간 동안, 파키스탄의 주요 이슬람주의 정당인 자마트에 이슬라미의 지도자 미안 투페일 모하마드는 야히아 칸을 "이슬람의 챔피언"으로 칭송했다. 야히아 칸은 정보기관(ISI, IB)을 이용하여 세속주의 정당들을 견제하고, 정보부를 이용하여 선전 활동을 벌이고, 그들이 "이슬람과 파키스탄을 위험에 빠뜨린다"는 생각을 심어주었다.[63]

야히아 칸은 투옥 기간과 그 이후 말년에 "극도로 종교적으로 변하면서" 술을 완전히 끊었다.[64]

5. 2. 관계

야히아 칸은 아클림 아크타르와 관계를 맺었지만, 결혼하지는 않았다.[92] 아클림 아크타르는 "라니 장군"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었으며, 야히아 칸은 그녀와 관계를 맺었지만 결혼에 이르지는 않았다.[65] 야히아 칸은 가수이자 배우인 누르 제한과도 관계가 있었다.[66] 그는 "흑진주(Black Beauty)"라고 알려진 샴임 케이. 후세인(Shamim K. Hussain)이라는 방글라데시인 여성과도 짧은 관계를 가졌다.[67] 샴임은 경찰관의 아내였는데, 야히아 칸은 그녀의 뛰어난 영어 실력과 윌리엄 셰익스피어, 조지 고든 바이런 등 자신이 좋아하는 시인들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그녀와의 교제를 높이 평가했다. 샴임은 외무부 결정에 영향을 줄 정도로 영향력이 커졌다.[68]

야히아 칸에게는 알리 야히아 칸(Ali Yahya Khan)이라는 아들과 딸이 있었다.[69][70]

5. 3. 취미

1971년 타임(Time)의 사설에 따르면, 야히아는 애완 조류 사육 외에 다른 취미는 없었으며, 앵무새, 두루미, 백조와 같은 새들을 아이완-에-사드(대통령 관저)에서 기르고 있었다.[71]

6. 사망

야히아 칸은 1979년까지 가택연금 상태에 있다가 파즐 하크 장군에 의해 구금에서 풀려났다. 그는 공개 행사에 참여하지 않았고, 메모 형식으로 자신의 회고록을 작성했으나 출판되지는 않았다. 1980년 8월 10일 파키스탄 펀자브주 라왈핀디에서 사망했으며,[77][85][72] 페샤와르의 서클 로드 묘지에 안장되었다.[59][1][73][74]

7. 유산

야히아 칸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파키스탄 국내와 국제 사회에서 크게 엇갈린다. 파키스탄에서는 대체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반면, 국제 사회, 특히 미국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 개선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기도 한다.

7. 1. 파키스탄에서의 평가

야히아 칸은 파키스탄에서 훈장을 받았으나, 이후 파키스탄 정부로부터 훈장을 박탈당했다.[59][1] 파키스탄 역사학자들은 야히아 칸을 대체로 부정적으로 평가하며 파키스탄 최악의 지도자 중 한 명으로 여긴다.[1] 그의 통치는 파키스탄 분열의 주요 원인으로 널리 인식된다.[75]

7. 2. 국제 사회에서의 평가

미국에서는 야히아 칸이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 개선을 이끌어 낸 공로를 높이 평가하였다. 리처드 닉슨 대통령은 야히아 칸에게 "미국과 중화인민공화국 간의 관계 개선이라는 획기적인 돌파구는 당신의 개인적인 도움 없이는 결코 이루어질 수 없었을 것입니다... 앞으로 여러 세대에 걸쳐 더 평화로운 세상을 원하는 사람들은 영원히 당신에게 빚을 질 것입니다."라는 친필 편지를 보내기도 하였다.[76]

8. 대중 문화

모하마드 제이샨 아유브는 2023년 인도 영화 삼 바하두르에서 야히아 칸을 연기했다.

참조

[1] 웹사이트 General Yahya Khan | Former Army Chief of Pakistan enforcing Martial Law in 1969 http://storyofpakist[...] 2020-07-17
[2] 서적 Conflict and Conquest in the Islamic World a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m 2011
[3] 서적 Democracy, security, and development in India
[4] 서적 South Asia: A Short Histo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0
[5] 서적 India and Pakistan: Continued Conflict or Coopera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0
[6] 서적 The Pakistan Paradox: Instability and Resilienc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7] 서적 The Longest August: The Unflinching Rivalry Between India and Pakistan https://books.google[...] Nation Books 2015
[8] 서적 Massacre: The tragedy at Bangla Desh and the phenomenon of mass slaughter throughout history Macmillan Publishers 1973
[9] 뉴스 General Agha Mohammad Yahya Khan https://www.dawn.com[...] DAWN 2000-08
[10] 뉴스 Past glory: Crumbling heritage in Walled City https://tribune.com.[...] The Express Tribune 2014-05
[11] 잡지 Good Soldier Yahya Khan http://www.time.com/[...] 2014-04-17
[12] 뉴스 A chapter from history: Yahya Khan's quick action https://www.dawn.com[...] 2020-07-19
[13] 웹사이트 Khan, Aga Mohammad Yahya https://en.banglaped[...] 2023-08-17
[14] 뉴스 Army's top slot: the seniority factor https://www.dawn.com[...] 2020-07-20
[15] 서적 India and the United States: Estranged Democracies National Defense University Press 1992
[16] 서적 Pakistan from Jinnah to Sharif https://books.google[...] Mittal Publications 1997
[17] 서적 War and secession : Pakistan, India, and the creation of Bangladesh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0
[18] 서적 Between Mosque and Military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2005
[19] 서적 Emergency powers and the courts in India and Pakistan https://books.google[...] Kluwer Law International 2002
[20] 서적 The Pakistan paradox : instability and resilienc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21] 잡지 Martial Law Proclaimed, President Ayub Resigns https://books.google[...] Information Division, Embassy of Pakistan 1969
[22] 서적 Prepare or perish : a study of national security Lancer Publ. 1991
[23] 웹사이트 Pakistan's Smallest Cabinet https://www.flickr.c[...] Dr. GN. Kazi 2020-07-20
[24] 잡지 Second and Third Release from the Second Population Census of Pakistan, 1961 1962
[25] 서적 Pakistan: The Enigma of Political Development Dawson 1980
[26] 웹사이트 The Evolution of National Security Council in Pakistan https://docs.google.[...] PILDT 2013-03-02
[27] 웹사이트 20. Memorandum of Conversation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69–1976, Volume E–7, Documents on South Asia, 1969–1972) https://history.stat[...]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05
[28] 뉴스 YAHYA CONCEDES ECONOMIC DEFEAT https://www.nytimes.[...] 1971-01-31
[29] 서적 Judging the state : courts and constitutional politics in Pakist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30] 웹사이트 From disunion through the Zia al-Huq era https://www.britanni[...] 2020-07-22
[31] 잡지 Anatomy of Violence: Analysis of Civil War in East Pakistan in 1971 http://www.epw.org.i[...] 2024-10-19
[32] 웹사이트 House Resolution1430 - Recognizing the Bangladesh Genocide of 1971 https://www.congress[...]
[33] 서적 Century of Genocide: Critical Essays and Eyewitness Accounts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04
[34] 잡지 Unholy Alliances https://www.newyorke[...] 2023-09-03
[35] 웹사이트 The Past has yet to Leave the Present: Genocide in Bangladesh https://hir.harvard.[...] 2023-09-03
[36] 뉴스 Bangladesh war: The article that changed history https://www.bbc.com/[...] 2020-07-19
[37] 뉴스 It's not the arithmetic of genocide that's important. It's that we pay attention https://www.theguard[...] 2020-07-19
[38] 서적 Witness to surrender University Press 1997
[39] 간행물 Pakistan Defence Journal 1977
[40] 서적 https://books.google[...] 2013
[41] 웹사이트 Death Tolls for the Major Wars and Atrocities of the Twentieth Century http://users.erols.c[...]
[42] 웹사이트 Hamoodur Rahman Commission Report http://www.bangla200[...]
[43] 학술지 Fifty years of violent war deaths from Vietnam to Bosnia: analysis of data from the world health survey programme 2008-06
[44] 웹사이트 When Pakistan put Bangabandhu on trial https://www.dhakatri[...] 2023-08-17
[45] 뉴스 A leaf from history: Simla Agreement, at last https://www.dawn.com[...] 2020-07-20
[46] 서적 2013
[47] 웹사이트 Kissinger's Secret Trip to China http://www.gwu.edu/~[...]
[48] 웹사이트 Personal Prejudice Makes Foreign Policy https://web.archive.[...] Asiaticsociety.org.bd 2020-07-22
[49] 서적 2007
[50] 잡지 The Kissinger Tilt https://web.archive.[...] 2008-09-30
[51] 잡지 World: Pakistan: The Ravaging of Golden Bengal https://web.archive.[...] 2011-03-28
[52] 서적 2007
[53] 서적 White House Years
[54] 서적 2007
[55] 서적 2007
[56] 서적 2007
[57] 웹사이트 The Tilt: The U.S. and the South Asian Crisis of 1971 http://www.gwu.edu/~[...] The National Security Archive (United States) 2020-07-20
[58] 서적 2007
[59] 웹사이트 Yahya Khan: president of Pakistan on Encyclopedia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0-07-22
[60] 웹사이트 The rise and fall of Yahya Khan https://www.observer[...] 2022-05-30
[61] 서적 2013
[62] 서적 Private Life of Yahya Khan Sterling Publishers 2006
[63] 서적 The Military Factor in Pakistan Lancer Publishers 2008
[64] 서적 Private Life of Yahya Khan Sterling Publishers 2006
[65] 뉴스 The fascinating tale of General Rani https://web.archive.[...] 2024-07-23
[66] 웹사이트 Lest We Forget: Yahya Khan Was Busy Partying As Dhaka Fell https://thefridaytim[...] 2021-12-14
[67] 웹사이트 Yahya Khan Was Busy Having a Good Time as Dhaka Fell https://nayadaur.tv/[...] 2019-12-18
[68] 서적 Private Life of Yahya Khan Sterling Publishers 2006
[69] 뉴스 Gen. Yahya Khan, 63; Ex-Pakistani Ruler https://www.nytimes.[...] 2024-07-23
[70] 뉴스 General Agha Mohammad Yahya Khan https://www.dawn.com[...] 2024-07-23
[71] 잡지 Good Soldier Yahya Khan http://www.time.com/[...] 2014-04-17
[72] 웹사이트 General Agha Mohammad Yahya Khan https://www.dawn.com[...] 2023-08-17
[73] 뉴스 Gen. Yahya Khan, 63; Ex-Pakistani Ruler https://www.nytimes.[...] 2024-07-23
[74] 뉴스 General Agha Mohammad Yahya Khan https://www.dawn.com[...] 2024-07-23
[75] 논문
[76] 서적 The United States and Pakistan, 1947-2000: Disenchanted Alli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1
[77] 웹사이트 Yahya Khan: president of Pakistan on Encyclopedia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0-07-22
[78] 뉴스 A chapter from history: Yahya Khan's quick action https://www.dawn.com[...] 2020-07-19
[79] 뉴스 Bangladesh war: The article that changed history https://www.bbc.com/[...] 2020-07-19
[80] 서적 The Foreign Policy of Pakistan: Ethnic Impacts on Diplomacy 1971–1994 https://books.google[...] I.B.Tauris
[81] 서적 1971: The Global History of Creation of the Bangladesh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82] 서적 جنرل محمد یحٰیی خان: شخصیت و سیاسی کردار آصف جاوید برائے نگارشات پبلشرز
[83] 서적 Conflict and Conquest in the Islamic World a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m 2011
[84] 서적 Democracy, security, and development in India
[85] 웹인용 General Yahya Khan | Former Army Chief of Pakistan enforcing Martial Law in 1969 http://storyofpakist[...] 2020-07-17
[86] 서적 South Asia: A Short Histo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0
[87] 서적 India and Pakistan: Continued Conflict or Coopera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0
[88]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Pakistan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5
[89] 서적 The Pakistan Paradox: Instability and Resilienc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90] 서적 The Longest August: The Unflinching Rivalry Between India and Pakistan https://books.google[...] Nation Books 2015
[91] 서적 Private Life of Yahya Khan https://books.google[...] Sterling Publishers 2006
[92] 뉴스 The fascinating tale of General Rani https://www.thefrida[...] 2014-03-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